본문 바로가기

#2 Framework ✍️/2-2 Node.js

(3)
Buffer (버퍼) Buffer (버퍼) 란? Node.js에서 Buffer는 바이너리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특수한 유형의 객체 Why 왜 사용할까? 버퍼가 도입되기 이전에는 자바스크립트에서는 바이너리 데이터를 처리할 방법이 없었음 속도가 느리고, 바이너리를 처리할 전문적인 도구가 없기 때문에 기존에는 문자열과 같은 원시 값들을 이용해야 했음 그렇기 때문에 비트와 바이트를 조금 더 쉽게, 그리고 성능에도 유리한 방법으로 조작 할수있도록 제공 됨 How 어떻게 사용할까? 처리하는 방식이 자바스크립트의 배열과 유사함 slice, concat, length, 등을 사용할 수 있음 또한 이터러블하며, for-of에서도 사용 가능 Node.js는 버퍼클래스를 전역 스코프에 expose 하므로 import나 require를 할 필..
[Node.js] NPM vs NPX npm이랑 npx는 뭐가 다른걸까?? NPM (Node Package Manager) Node.js 환경에서 사용되는 패키지 관리자 패키지를 다루는 작업을 편리하고 안전하게 수행하기 위해 사용되는 툴 라이브러리가 코드의 작성을 위해 사용되는 코드의 묶음이라면 패키지는 코드의 배포를 위해 사용되는 코드의 묶음 package.json 파일에 의존성에 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저장하면 사용자가 사용하고자 하는 패키지의 dependency를 패키지 매니저를 통해 쉽게 설치하도록 도울 수 있음 NPX (Execute Npm Package Binaries) npm을 좀 더 편하게 사용하기 위해 npm에서 제공해주는 하나의 도구 npm에 속해 있는 npm 패키지 실행 도구 패키지 임시 설치 및 실행 npm으로 ..
[Node.js] Node.js 란?? JavaScript 런타임(프로그래밍 언어가 실행되는 환경), 브라우저가 아닌 곳에서 JS를 실행하게 해주는 어플리케이션 서버 측 프로그래밍 Node.js는 V8을 사용 V8: 구글에서 개발한 JavaScript 엔진, JavaScript를 브라우저에서 실행해줌 nodejs runtime 은 몇 가지 dependency 가 있는데 그 중 가장 중요한 것이 v8 engine과 libuv v8 engine이 없다면 nodejs는 javascript를 이해할 수 없음 v8 engine이 javascript 코드를 컴퓨터가 이해할 수 있는 머신 코드로 변환해주기 때문 libuv는 비동기 IO를 집중적으로 개발하는 오픈소스 라이브러리 libuv를 통해 노드는 파일시스템과 네트워킹 등의 컴퓨터 운영체제의 기능들에 ..

LIST